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조회 해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에 대해 조회를 해보겠습니다.
여러가지 국가에서 시행하는 복지정책을 지원받기 위해서는
이따금씩 소득증명을 해야합니다.
그리고 복지조건이 대부분 소득을 기준으로 되어있기때문에
평균소득을 찾아보게되었습니다.
대부분의 국가 통계는 통계청에서 운영하고있습니다.
그렇기에 잘 정리된 정보를 얻을수 있었습니다.
다만 워낙 많은 방대한 분량이 많아서 뭘봐야 맞는지 아리송 했답니다.^^;
국가주택 복지정책중에 행복주택지원사업이 있습니다.
이또한 저소득층을 위한, 다양한 혜택중 하나랍니다.
행복주택의 소득기준은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 을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통계청에서는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을
월평균소득/12개월 평균으로 잡고있습니다.
과거 2013년 월평균소득은 460만원
2014년 은 473만원
2016년기준 15년 월평균소득은 481만원
그리고 최근 의 2016년 3분기 소득은 494만원 입니다.
2017년 기준의 2016년 대상 평균소득은 4분기 까지 통계되어 평균을 내어야 합니다.
평균소득의 50% 는 240만 8,333원 입니다. 60% 는 288만 9,999원 입니다.
70% 는 337만 1,666원 입니다.
80% 는 385만 3,332원 입니다.
90% 는 433만 4,999원 입니다.
이밖에 다양한 가계수지 항목을 볼수 있었습니다.
가구주평균연령은 50세 이고, 평균 가구의 처분가능소득금액은 358만원 입니다.
매월 흑자평균 100만원 이네요, 흑자율 28% 로 평균소비성향은 70%정도 입니다.
그리고 통신비,오락비,문화비,교육비 등의 소비금액을 알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도시가구 근로자 기준이기때문에 다소 높은편이 있습니다. ^^;
이밖에 다양한 국가통계정보는 통계청을 참조해주세요.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역복무기간 증명 서류 발급 2가지 (0) | 2017.02.09 |
---|---|
국민은행 이체확인증 인터넷 출력 방법 (0) | 2017.02.04 |
회사 영어 직급 표기 및 직급 순서 알아보기 (4) | 2017.01.07 |
퇴직연금 중도인출 사유, 서류 알아보기 (0) | 2017.01.06 |
근로기준법 제 60조 연차 유급휴가 규정 알아보기 (2) | 2016.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