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v 파일을 utf-8로 저장후 엑셀에서 한글깨짐 현상 해결하기
csv 파일을 utf-8로 저장해서 엑셀에서 읽을때 한글깨짐 현상을 해결합시다.
CSV(영어: comma-separated values)는 몇 가지 필드를 쉼표(,)로 구분한 텍스트 데이터 및 텍스트 파일입니다. 확장자는 .csv이며 MIME 형식은 text/csv입니다. comma-separated variables라고도 합니다.(위키백과)
오래전부터 스프레드시트나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에서 많이 쓰였으나 세부적인 구현은 소프트웨어에 따라 다르다고 합니다. 또 그것들을 추가한 형태가 2005년 10월 RFC 4180에서 Informational(IESG의 외부에서 결정된 유용한 정보의 제공)로 사양이 문서화됐습니다.
이번에 csv 파일을 열어볼 상황이 생겨서 엑셀을 통해서 파일을 열어보았습니다. 그런대... 한글 글자가 전부 깨져서 나오는 상황이 생겼습니다.
이렇게 엑셀에서 한글이 깨지는 현상은 언어 인코딩 방식이 euc-kr이라서 이런 문제가 생기고 있습니다.
그래서 문서의 언어 인코딩 형식으르 utf-8(보편적)로 바꿔줘야 합니다.
원래 csv 파일은 텍스트 파일 이라서 윈도우 메모장에서 쉽게 읽어볼수 있습니다.
이렇게 메모장에서 csv파일을 읽었더니 잘 읽어집니다.
이제 다른이름으로 저장을 해서 언어 인코딩 설정을 다르게 저장해줍니다.
메모장 메뉴 상단의 '파일' 메뉴에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해줍니다.
그러면 다른이름으로 저장할때 아래쪽 인코딩 옵션을 통해서 'UTF-8'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UTF-8로 저장후 엑셀에서 다시 읽어보겠습니다.
언어 인코딩을 UTF-8로 저장한 후 엑셀에서 파일을 읽어보면 한글이 깨졋던 아까와는 다르게 이번에는 한글이 잘 표현되는걸 볼 수 있습니다. ㅎㅎ
UTF-8은 대다수의 많은 나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어진 언어 인코딩 방식 입니다. 하지만 한글의 경우에는 3바이트 구간에 한글이 포진되어 있어서 euc-kr 보다 용량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대세가 utf-8이다보니 어쩔수 없이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물론 그만큼 호환성 면에서는 더 좋긴합니다.
'컴퓨터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seo 사이트맵(sitemap)에 www 를 포함해야 할까요? (0) | 2019.03.26 |
---|---|
mysql db 엑셀 csv파일 저장시 저장안됨,한글 깨짐현상 해결하기 (0) | 2019.03.25 |
스마트폰 통화 음성 자동녹음 설정하는 방법(skt) 및 녹음파일 저장위치 알아보기 (0) | 2019.03.23 |
휴대폰(스마트폰) 수신거절 메시지 설정하기(skt 기준) (0) | 2019.03.22 |
우편번호 5자리 의미 및 체계 알아보기 (1) | 2019.03.20 |